교과과정

교과목해설

교과목해설표 목록
교과목명 교과목 해설 비고 설강
국 문 영 문 국 문 영 문 학년 학기
계량분석론 QUANTITATIVE ANALYSIS 실천학문으로서의 성격을 띠는 행정학연구는 행정현상에 대한 이해는 과학적인 분석을 기초로 한다. 계량분석이라는 과목에서는 행정학연구에 필요한 각종 계량기법을 소개하고 이들이 어떻게 응용되는지에 대하여 연구한다. 현대적 관점의 행정학연구의 초점은 현상의 복잡성과 불확실성에 두어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컴퓨터를 이용한 통계 패키지 사용법은 필수적이라 하겠다. Basic inferential statistics(point and internal estimation, hypothesis testing)and descriptive statistics(measure of central tendency, variation, and bivariate association) 전선 3 1
공기업론 PUBLIC ENTERPRISE 정부기관이 경영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공기업의 개념,공기업의 발생원인, 공기업의 분류,공공요금 및 주요국의 공기업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Creation and operation of public enterprise, dealing with its impact on the national economy and its prioritization. 전선 3 1
도시행정론 URBAN ADMINISTRATION 도시의 개념 및 유형 도시의 형성과 발전과정 그리고 도시화 현상과 그 전망을 개관하고, 특히 대도시화 현상에 따른 광역도시행정의 필요성과 문제점을 고찰한다. Various issues and problems facing modern cities in Korea. Covers not only the spatial structures and economic problems, but also such issues as urban transportation, housing, environment, land development, and urban finances. 전선 4 1
복지행정론 WELFARE ADMINISTRATION 현대국가의 복지국가화 경향에 따른 복지행정의 이론적기초를 소개하고 복지행정문제를 분석하며, 복지정책과 사회환경과의 관계를 다룬다. Ideological and technical issues of welfare policy making in modern society. Fair distribution of the national wealth and eradication of poverty from human society. 전선 4 1
교과목해설표 목록
교과목명 교과목 해설 비고 설강
국 문 영 문 국 문 영 문 학년 학기
인사행정론 PERSONNEL ADMINISTRATION 공무원제도의 발달사를 연구하고 공무원의 사기 및 능력의 효율적 관리방법을 고찰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장차 유능한 인력의 관리자가 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한다. Theories and practices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development history of the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system and technique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the human capacity and morale. 전필 2 2
재무행정론 FINANCIAL ADMINISTRATION 국가의 살림과 예산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예산의 편성,의결,집행 및 회계조사의 과정을 설명한다.그리고 예산배정의 결정이론과 예산개혁에 관하여도 고찰한다. This course cover key concepts used by managers to understand and manage a government's financial performance. The course builds a quick foundation in the vocabulary and concepts of budget, provides an overview of budgetary processes in public arena, and presents a fulsome process for budgeting. Additionally, the course covers an advanced topic such as optimal distribution of public budget and performance measurement. The teaching methods used through out the course will enhance student' critical thinking, project management and team building skills and improve their written and oral communication skills. Students will also learn the terminology and tools for evaluating the financing of a variety of public organizations, and the influence of third party players on the financial decision of public affairs administrators. 전필 2 1
정보체계론 INFORMATION SYSTEM THEORY 오늘날 정보화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없이 공공조직이든 민간조직이든 조직내외의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 할 수 없다. 이를 위하여 정보화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행정정보체계의 확립이 필요하다.본 과목은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른 행정과 행정환경의 변화를 살펴보고, 전략적 지원으로서의 정보의 중요성, 행정정보체계,그리고 정보화시대에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컴퓨터 활용능력을 고양함으로서 정책결정과 정보지원,정보요구분석,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네트워크, 사무자동화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높인다. Methods of acquiring and presenting data, including survey techniques and the way the computer is integrated into general management. The impact of computerization on personnel and office management systems, and issues of data protection and access to public information. 전선 3 2
교과목해설표 목록
교과목명 교과목 해설 비고 설강
국 문 영 문 국 문 영 문 학년 학기
정책사례연구 POLICY CASE STUDY 행정현상의 다원화의 불예측성에 대응 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것이 중요하다. 정책학과 관련한 모든 지식을 기존의 연구 혹은 교과서를 통하여 얻는다는 것은 항상 한계가 있다.따라서 정책사례연구에서는 기존이론에 대한 검증과 아울러 새로운 이론적 틀을 형성하기위한 논의가 이루어진다. This course deals with public policy issues including welfare, health, education, and environment. It provides various empirical analyses and rival theoretical perspectives. 전선 4 2
조사방법론 SOCIAL RESEARCH METHODS 행정학 및 사회과학일반에 유용한 접근방법을 터득,연마하는데 목적이 있다.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designs for public and social affairs. Data collection, program evaluation, and content analysis. 전선 2 2
조직관리론 ADMINISTRATIVE ORGANIZATION &MANAGEMENT 조직의 일반적인 특성을 설명하고 조직의 생산성을 제고시키기위한 관리기법등을 습득함으로써 학생들로하여금 장차 조직사회의 적응능력을 배양시키고 나아가 관리자 혹은 행정가로서의 능력을 발휘할 지식을 습득시키는데 교육의 목적이 있다. Overview of key organizational processes that affect and are affected by people. Integrates the findings of the behavioral experience. Possible topics include:motivation,productivity, job satisfaction and alienation, performance appraisal, decision-making, power, turnover ,job design,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rganizational change. 전필 2 1
조직행태론 ORGANIZATION ALBEHAVIOR 조직표와 조직을 구성하는 조직 구성원들의 개인목표를 일치시킴으로써 조직의 목표를 극대화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조직을 구성하는 조직구성원의 태도, 신념, 가치관,행태등심리적 측면을 중시하여 사회심리학적인 접근방법을 원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규명함으로써 조직목표의 극대화를 이루는데 조직형태론의 존재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An advanced course of Organization Theories. Theories on effective achievement of the organizational goal and fulfillment of the growth needs of the individuals, emphasizing the psychology of the individuals in modern complex organizations. 전선 3 2
교과목해설표 목록
교과목명 교과목 해설 비고 설강
국 문 영 문 국 문 영 문 학년 학기
지방재정론 LOCAL BUDGETING THEORY 재정운용의 건전성과 자주성의 확보하는 지방자치의 성공적 실시를 가능케하는 주요과제이다. Revenues, expenditures, borrowing and debt of local government. Central-local financial relation and local enterprises. 전선 3 2
지방행정론 LOCAL ADMINISTRATION 관치행정으로 일관해온 우리나라 지방행정의 현주소를 밝히고 도시화 시대에 대응한 지방행정의 방향을 지방자치적 측면에서 고찰 해 본다. Understanding current status of local government. Democracy of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on in the ages of urbanization and local autonomy. 전필 2 2
지역개발론 REGION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국가발전에 있어서 지역개발이 차지하는 지위 와 역할을 규명하고 지역개발의 현대적 경향을 고찰하여 지역주민의 참여속에서 지역개발의 바람직한 방향을 연구한다. Policies and strategies of regional development. Spatial structures, interregional movement of labour and capital, and innovation diffusion. Theories of regional 전선 4 2
한국행정론 KOREAN GOVERNMENT& ADMINISTRATION 한국행정현상을 객관적인 비교의 입장에서 분석평가하고 한국 행정발전을 연구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있다.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system and public bureaucracy for Korean government 전선 4 1
교과목해설표 목록
교과목명 교과목 해설 비고 설강
국 문 영 문 국 문 영 문 학년 학기
행정개혁론 THEORIES FOR ADMINISTRATIVE REFORM 이 과정은 행정의 현재 상태 및 공공 관리, 혁신 및 개혁에서 가장 중요한 최근에 생긴 이슈를 선명하게 학생들에게 제공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 과정은 공개 문제에 학생들이 더 잘 알려주고 도움이 됩니다. 이 과정은 학생들이 정부의 활동과 사업의 이해를 돕는 것을 주요 목표로하고 있습니다. This course is designed to provide students with a clear picture of the current state of play and the most important emerging issues in public management, innovation and reform. This course will help students of public issues to be better informed and managers who work in the public domain (whether in public, voluntary or private sectors)to be more effective. This course has as its main objective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activities and business of these governments. 전선 3 2
행정사 HISTORY OF PUBLIC ADMINISTRATION 공공행정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살핌으로써 행정의 발전을 전망하고 평가한다. History of administrative theory for public administration. Analysis of history of Korean government and public bureaucracy system. 전필 3 1
행정철학 PHILOSOPHY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학이 과거 기술적측면에서 한계성과 현실적-경험적으로 일어난 사실에관한 지식으로서 과학적- 실증주의적 방법론에 의존해온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행정의 본질이 무엇이며 행정과정에서 필요로하는 가치를 고찰해본다. The course is organized around two broad questions: What are the leading ideological issues that a rise in public administrative practice? Where should the administration look for guidance in dealing with these issues? It covers theoretical debates among the scholars in the field. 전선 2 1
행정학연습1 SEMINAR IN PUBLIC ADMINISTRATION 1 행정학 교과서의 구성체계는 대부분이 7개장으로 되어있다. 본 강좌는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학생들을위한 수험용과목으로 개설되었다. 1-3장에 해당하는 행정학총론, 정책 및 기획론,조직이론분야의 핵심이론을 강의하면서 실전대비 문제풀이를 병행하여 수험행정학을 정리하도록 도와준다. This course is offered for those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national examinations to select government employees. Most text books of public administration are composed of seven chapters. This course covers the first three chapters of them, introduction to public administration, policy and planning, and organization theories. The lecture focuses on learning basic theories of each chapter and is designed to make students well-versed with actual tests througn regular problem-solving sessions. 전선 3 1
교과목해설표 목록
교과목명 교과목 해설 비고 설강
국 문 영 문 국 문 영 문 학년 학기
행정학연습2 SEMINAR IN PUBLIC ADMINISTRATION 2 본 강좌는 행정학연습1에서 다루지 못한 4-7장인 인사행정론, 재무행정론, 행정통제 및 책임론, 지방행정론분야의 핵심이론을 강의하면서 실전대비 문제풀이를 병행하여 수험행정학을 정리하도록 도와준다. This course covers the latter half of public administration textbooks. Main topics of the course are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managing financial resources, public control and accountability, and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on. Just like"Practice in Administration: Part I,"this course focuses on understanding basic theories of each chapter and also offers problem-solving sessions. 전선 3 2
정부회계론 GOVERNMENT ACCOUNTING 정부회계실무에 적용되는 회계의 기초원리를 복식부기의 체계에 따라 계수적으로 파악하여 정부의 각종 이해관계자들의 경영의사결정을 위한 재무적 정보를 제공하고 정부회계이론의 발전에 기초지식을 제공한다. Deals with basic concepts, principles, and fundamental theories in accounting that are applied to actual business to provide financial Information for government decision makers and stake holders. 전선 3 2
환경행정론 PUBLIC ADMINISTRATION FOR ENVIRONMENT 현대사회에 가장 심각한 문제중의 하나가 환경문제이다. 본 과목에서는 행정학도로서 환경문제를 인식하며, 환경문제의 대두배경을 이해하고, 환경을 다루는 조직체계와 법체계를 살펴본다. General understanding about diverse approaches and techniques with in the realm of multi disciplinary frame work of social science that can be applied to protect and improve bio-geo-chemical and physical environment. Testing adaptability of political ideology, economic principles, socio-behavioral theories, and management principles in view of environmental amelioration at various levels of government. 전선 4 2
전자정부론 THEORY OF ELECTRONIC GOVERNMENT 이 과목은 전자조달, 전자 인허가, 정부DB의 공개 및 접근, 전자민주주의등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전자적인 정부서비스의 내용들을 다루게 된다. 또한 전자적인 방법을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집행될 수 있는 정부기능들은 무엇인지, 전자거버넌스의 사회정치적함의는 무엇인지, 그리고 새로운 디지털 거버넌스의 도래와 더불어 새롭게 변화해야할 행정관료들에 대한 교육과 훈련등에 대해 논의하게 된다. The course seeks to introduce students to topics salient to effective governmental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initiatives mediated by the Internet, including e-procurement, e- licensing, online citizen access to governmental databases, and e-democracy initiatives. 전선 2 1
교과목해설표 목록
교과목명 교과목 해설 비고 설강
국 문 영 문 국 문 영 문 학년 학기
비교발전행정론 COMPARATIVE & DEVELOPMENT ADMINISTRATION 행정과정의 현대도시의 여러문제를 연구를 토대로하는 비교방법의 개발과 각 이론모형의 제시와 검토를 기초하여 실제로 여러국가를 비교· 검토하고, 현대도시의 성장과 인구집중, 대도시 기능과 행정구역문제, 수도권의 광역 행정기구등의 제반문제를 분석· 고찰한다. Many problems of the modern city of the administrative process based on a study to compare the development of theoretical models, each based on a review of the present and compare the effects of the various countries, Review, and the growth of modern cities and population concentration, city functions and administrative areas issues, regional administrative units in the metropolitan area, are reviewed and analyzed various issues. 전선 3 2
정책분석평가론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정책분석 및 평가론은 정부의 각종 정책활동의 토대가되는 각종 기초이론과 방법론을 제시한다.모든 정부활동이 일정한 자원의 제약범위 내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정부가 가장효율적인 정책활동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이론과 방법을 사례별로 소개한다. This course examine show governments are deploying public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strategies. Public policy refers to the broad spectrum of various processes in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Students will learn how to develop and implement an public policy, how to address such critical policy concerns. 전선 4 1
거버넌스론 GOVERNANCE 중앙과 지방의 거버넌스에관한 공공담론(publicdiscourse)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ance of public discourse to study the theory and practice is intended. 전선 3 2
행정학개론 INTRODUC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학의 입문 과정으로 행정학의 정의, 사적고찰, 연구방법 등을 중심으로 총합적 행정관리와 요소별 행정관리로 구별하여 행정의 일반이론과 실제를 연구한다. Learning principles of how to accomplish the goal so four society by enhancing cooperation between civilian entity(or people)and governmental organizations. Eventually people who are equipped with knowledge in public administration field would be able to manage turbulent circumstances of this era. 전필 1 1
교과목해설표 목록
교과목명 교과목 해설 비고 설강
국 문 영 문 국 문 영 문 학년 학기
정책학개론 THEORIES OF PUBLIC POLICY 새로운 파라다임으로서 정책학의 학문적 성향 및 일반적인 원리를 고찰하고 정책형성,정책집행, 정책평가등 정책학에관한 기초적 이해를 도모한다. 특히 정책체계에 대한 종합적 시각 및 접근방법을 습득하여 실제로 정책사례를 분석해 봄으로써 정책학에대한 이론과 실제를 연계시키는 토대를 형성한다. This course offers to investigat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policy science, which is a new academic arena, allowing students to understand basic principles of policy processes as a whole(e.g.,formulation, execution.).Furthermore, when finishedthiscoursestudentswill be able to draw figure policy science in a comprehensive manner by performing practical exercise. Ultimat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enhance students' capability of extending policy theories to practical agenda. 전필 1 2
예산이론 BUDGET THEORY 예산의개념, 기능, 원칙,종류, 분류 그리고 정부회계, 구매조달, 지방재정 및 정부와 기업의 관계 등을 연구함으로써 예산의 편성, 심의, 집행 및 결산등 예산절차와 예산과 재정정책과의 연계등 특수문제를 다룬다. This course deals with not only the major concepts, functions, principles, and classification of budget, but also government budget processes in reality, focusing on various issues of budget processes(including execution and evaluation)to guarantee efficient financial management. 전필 1 2
정책결정론 POLICYDECISM MAKING 정책은 행정의 최종산물이라 할 수 있다. 정책결정은 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위한 접근은 무엇인가를 배우는 학문이다.정책학에서 다루어져야 할 가장 일반적인 내용으로서의 정책형성 및 과정·집행 그리고 평가등에 대하여 고차적인 연구를 위한 기본을 배운다. The policy-making process, including agenda setting, policy analysis, policy making, policy implementation, and policy evaluation 전필 2 2
행정학개론 INTRODUC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학의 입문 과정으로 행정학의 정의, 사적고찰, 연구방법 등을 중심으로 총합적 행정관리와 요소별 행정관리로 구별하여 행정의 일반이론과 실제를 연구한다. Learning principles of how to accomplish the goal so four society by enhancing cooperation between civilian entity(or people)and governmental organizations. Eventually people who are equipped with knowledge in public administration field would be able to manage turbulent circumstances of this era. 전필 1 1
 
TOP